정보통신설비
정보통신설비 개요
정보통신설비 제정 목적
국민의 안전과 정보통신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설비에 대한 유지보수·관리제도 도입
법 시행일
✓ 정보통신설비법 : 2024년 7월 19일
✓ 관련법령 :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제37조의2 및 제37조의3
✓ 법률 제19546호
적용 대상 건축물
✓ 연면적 5천m² 이상의 건축물
✓ 제외대상 건축물
- 공동주택 (아파트, 연립주택, 다세대주택, 기숙사 등)
- 「학교시설사업 촉진법」의 적용을 받는 학교시설
※ 대학교와 유치원은 「학교시설사업 촉진법」의 대상이 아니므로 적용 대상 건축물임.
정보통신설비 시행시기
기존 건축물의 적용 기준
건축물 연면적 구분 | 시행 시점 | 유지보수·관리자 자격 |
---|---|---|
6만m² 이상 | 25. 07. 19 | 특급 기술자 |
3만m² 이상 ~ 6만m² 미만 | 고급 기술자 이상 | |
1만5천m² 이상 ~ 3만m² 미만 | 26. 07. 19 | 중급 기술자 이상 |
1만m² 이상 ~ 1만5천m² 미만 | 초급 기술자 이상 | |
5천m² 이상 ~ 1만m² 미만 | 27. 07. 19 | 초급 기술자 이상 |
신축, 증축, 개축, 재축 및 대수선이 이루어진 건축물의 경우 사용승인 및 준공인가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유지보수 관리자를 선임 하여야 함.
유지보수·관리자의 자격기준 및 업무 위탁
관리자 자격
· 기술계 정보통신기술자* 자격을 갖추고 20시간 이상 유지보관리자 인정교육을 이수한 자
* 「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」 별표6에 따른 특급~초급 기술자이며, 통신관련 학사학위 또는 산업기사 이상의 국가자격증으로 초급 기술자 발급 가능
· 유지보수·관리자 인정교육은 ICT폴리텍대학(www.ict.ac.kr)에서 비대면 실시간 교육(3일, 22시간 과정)으로 진행 中
업무 위탁
· 유지보수 · 관리는 공사업자에게 위탁이 가능하고, 성능점검은 공사업자 또는 용역업자*에게 위탁 가능
* 통신관련 엔지니어링 사업자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자
신고사항
관리주체는 시행 후 30일 이내에 유지보수·관리자를 선임하고, 선임·해임 시 30일 이내 시·군·구청(특별자치시·도 포함)에 신고
업무내용 | 특별자치시·특별자치도·시·군·구 |
---|---|
정보통신담당 | |
![]() |
① 유지보수·관리자 선·해임신고 서류접수 - 사업자등록증, 건축물대장 확인 - 재직사항 및 경력사항 확인 |
② 유지보수·관리자 신고사항 변경신고서 서류 접수 - 변경사항 증명서류 확인 - (변경 시)정보통신기술자 경력확인서 확인 |
|
③ 유지보수·관리자 선임신고증명서 서류접수 - 신청인 위임장(대리인 신청 시) - 신청인(대리인) 신분증 확인 |
|
④ 유지보수·관리자 선임신고증명서 발급업무 |
과태료 부과기준
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·관리자를 선임하지 않거나, 유지보수·관리 및 성능점검 등 점검을 하지 않은 경우 등 위반시 과태료 부과(경기도)
위반행위 | 과태료 금액 |
---|---|
✓ 유지보수 · 관리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경우 | 300만원 |
✓ 점검기록을 작성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작성한 경우 | |
✓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· 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경우 | |
✓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· 관리자를 해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 · 관리자를 새로 선임하지 아니한 경우 | |
✓ 점검기록을 보존하지 아니한 경우 | 150만원 |
✓ 점검기록을 특별자치시장 · 특별자치도지사 ·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에게 제출하지 않은 경우 | 100만원 |
✓ 유지보수 · 관리자 선 · 해임신고(변경신고 포함)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|
※ 유지보수·관리자 미선임, 미신고 등에 대한 과태료는 '26. 1. 18.까지 유예하여 위반 사항에 대해서 시정명령, 행정지도 등 개선권고 예정
→ 유지보수관리자 선임 및 1회차 유지관리점검 : 2026. 1. 18.까지 필수
→ 성능점검 1회, 2회차 유지관리점검 : 2026. 7. 18.까지 필수
유지보수·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
유지보수·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(종류)
대상정보통신설비 | ||
---|---|---|
①통신설비 ✓ 케이블설비 ✓ 배관설비 ✓ 국선인입설비 ✓ 단자함설비 ✓ 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 ✓ 전화설비 ✓ 방송 공동수신 안테나 시설 ✓ 종합유선방송 구내전송선로 설비 |
③정보설비 |
|
✓ 네트워크설비 ✓ 전자출입(통제)시스템 ✓ 원격검침시스템 ✓ 주차관제시스템 ✓ 주차유도시스템 ✓ 무인택배시스템 ✓ 비상벨설비 ✓ 영상정보처리기기시스템 ✓ 홈네트워크 설비 ✓ 빌딩안내시스템(BIS) ✓ 전기시계시스템 ✓ 통합SI시스템 |
✓ 시설관리시스템(FMS) ✓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(BEMS) ✓ 지능형 인원계수 시스템 ✓ 지능형 경계감시 시스템 ✓ 스마트 병원설비 (너스콜) ✓ 스마트 도난방지 시스템 ✓ 스마트 공장 시스템 ✓ 스마트 도서관 시스템 ✓ 지능형 이상음원 시스템 ✓ 기반 지하공간 안전IoT 관리 시스템 ✓ 디지털 사이니지 |
|
②방송설비 ✓ 방송음향설비 |
④기타설비 ✓ 통신용 전원설비 ✓ 통신접지설비 |
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·관리자의 업무
관리자 업무
세부업무 및 작성서류 | 작성시기 |
---|---|
①유지보수·관리 및 성능점검 계획서 작성 - 점검대상 정보통신설비의 종류 및 항목 - 유지보수 관리 및 성능점검 절차와 주기 - 유지보수 관리 및 성능점검 전 재해방지 대책 - 유지보수 관리 및 성능점검 시 긴급 상황에 대한 매뉴얼 - 정보통신설비의 사고, 이상 상황 발생시 조치 방법, 재발방지 대책 - 성능점검을 위한 인력 투입 계획 및 장비 현황 - 성능점검 중 안전 확보 및 품질 관리 방안
- 성능점검 결과에 따른 조치 방안
|
최초 작성 후 변경사항 갱신 시 |
②유지보수 관리점검표 작성 - 각 설비별로 유지보수 관리 점검을 실시하고 점검표 기록 |
반기별 1회 이상 |
③성능점검 보고서 작성 - 각 설비별로 성능점검표에 따라 점검하고 점검기록(보고서)을 보관 - 정보통신설비 시스템 검토 : 작동 상태, 현황표와 현장에 설치된 설비와의 일치 여부 - 성능개선 계획 수립 : 설비의 노후도 평가, 성능점검표에 따른 부적합 및 개선사항, 연도별 세부개선계획 |
완공일 기준 매년 1회 이상 |
정보통신기술자의 중복 선임, 겸직 가능 여부
· 정보통신설비 유지보수·관리자는 최대 5개의 건축물 등에 중복 선임될 수 있음.
정보통신설비 성능점검 실시
· 관리주체는 성능점검을 실시하고 그 점검기록을 작성해야 하며, 정보통신공사업자나 엔지니어링업자, 정보통신 관련 기술사사무소 개설한 자 등에게 성능점검 및 점검기록의 작성을 대행하게 할 수 있음.
· 관리주체는 성능점검 기록을 5년간 보존하여야 하며, 지자체장이 점검 기록의 제출을 요청하는 경우 이에 따라야 함.
· 관리주체가 성능점검을 직접 실시하려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연면적 규모에 적합한 등급의 정보통신기술자를 고용하여야 함.